sicknsInfList
벼 생육 관계 온도
생육 시기별 적온과 한계 온도
찬물 유입(지하수)에 따른 저온 피해로 양분흡수(특히 인산) 불량으로 인한 황화 현상
어린모의 냉해 피해 (적고 현상 : 저장양분을 소모하여 적갈색으로 마르는 증상)
1. 피해 및 원인
◦ 벼의 생육 초기부터 어린 이삭이 형성되는 시기(이삭패기 약 25일 전)까지는 기온보다 수온의 지배를 더 크게 받으나 어린 이삭이 형성된 이후에는 수온보다 기온에 의해 벼 생육의 영향을 받으며, 임실율 및 등숙율은 기온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음
◦ 벼 생육기간 중 적산온도는 대략 2,500~4,000℃이며, 파종 전 침종은 100℃, 영양생장기에는 한 매의 잎이 출현하는 데는 약 100℃, 생식생장기에는 170~180℃, 지엽의 추출 완료부터 이삭패는 시기까지는 약 200℃, 이삭팬 후 성숙기까지는 800~880℃의 적산온도가 필요
◦ 벼 생리작용에는 광합성, 호흡, 수분흡수, 양분흡수, 동화산물의 전류 등이 있는데, 이들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생육이 왕성하거나 저조함
◦ 일조시간은 밝기가 120W/m2 이상인 시간을 나타내며, 벼 전체 생육기간에 영향을 미치므로 일조시간이 적으면 영양생장기에는 벼의 키가 도장되기 쉽고 이삭팬 후인 등숙기에는 벼 알맹이의 양분축적이 부실하여 등숙율 및 천립중의 무게가 저하됨
2. 대책 및 예방
◦ 냉해 상습지역은 냉해에 강한 품종 재배, 규산, 유기물 시용, 질소비료 15% 감비, 인산과 칼리 20~30% 증시
◦ 가지거름은 가급적 유안을 주어 초기생육 촉진
◦ 벼 알이 배기 시작할 때는 물을 깊게(15~20cm) 대어 어린 이삭 보호
◦ 이삭패기 15일 전, 이삭 팰 시기에 다찌가렌 500배액 90L/10a 살포
◦ 이삭팬 후 10일 안에 인산과 칼리 0.5%액(200배) 140L/10a 살포, 이삭 팰 시기에 망간 0.05%액 100L/10a 살포
◦ 고온장해 발생 시에는 물 흘러대기를 실시하여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