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 증상
◦ 강한 바람에 잎 선단이 파열되고 염에 의해 갈변 고사하며, 벼알은 건조 백화되고 일부는 흑변되어 곰팡이가 발생함
◦ 일반적인 백수현상과는 달리 벼알이 건조 고사되어 있으나 일부 등숙립이 남아 있으며, 이삭 지경은 녹색을 띠고 있는 것이 많음
◦ 바다 가까이에 위치한 벼는 3~5엽까지 완전 갈변 고사되어 녹색부위를 찾아보기 어려우며, 염 피해가 적은 벼 이삭은 강한 바람에 의한 찰과상으로 변색립이 심하게 발생함
◦ 출수시기에 따라 피해 정도가 차이가 있는데, 출수시기가 태풍 내습 시기에 가까울수록 피해가 매우 심함
◦ 지형이나 바람 방향에 따라서도 차이가 큰데, 포장 내에서도 바람을 직접 받은 부분은 피해가 심하나 논둑이 높아 바람을 막아준 부분은 피해가 적음
◦ 도복된 벼는 염분이 함유된 바람을 직접 받지 않아 피해가 적음
2. 원 인
◦ 태풍의 진로에 따라 강한 바람이 바다 쪽에서 불어오면 높은 파고로 인하여 바닷물이 공중으로 비산되고 이 때 강우가 없으면 바람과 함께 비산된 염분이 바람 따라 이동 낙하하면서 식물체에 축적되어 조직을 고사시킴
◦ 조풍피해는 바람 단독의 피해보다 극심하며, 해안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 피해가 심하고 기상조건에 따라 2km까지 피해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 냉조풍이나 건조풍에 의한 백수현상은 저온장해나 건조한 바람에 의하여 출수 직후의 연약한 이삭이 일시적인 수분의 수탈로 건조되어 이삭 전체가 불임이 되지만 조풍피해는 식물체에 고동도의 염류가 집적되어 염류장해에 의한 이삭의 갈변 고사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임
3. 대책 및 예방
◦ 피해 발생(태풍 경과 후) 6시간 이내에 동력분무기로 10a당 물 600ℓ 이상 뿌려 주면 등숙율이 향상되어 수량감소를 줄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