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기장 깜부기병
식량작물 > 기장 > 병해

증상

도감정보

기장 깜부기병

영문명 :

식물명 : 기장

1. 병원균 : Ustilago sphaerogena, Sphacelotheca destruens

 

2. 병징과 진단

이삭 패는 시기 이후 발생하며, 감염된 이삭은 건전한 이삭보다 일반적으로 큼

병에 걸린 이삭은 처음 회백색의 엷은 피막에 싸여 출수한 후 피막이 터지면서 그 속에서 검은색의 가루(후벽포자)가 흩어지고 결국 중축만 남게 됨

감염된 식물체 이삭에 검댕이가 묻어 있으며 모든 이삭과 낟알은 황록색의 홀씨(포자)들로 이루어진 깜부기 덩어리로 변하게 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감염된 낟알에서 휴면균사 상태로 월동함

균사는 식물체의 생장점에 근접하여 식물체와 같이 자라고 이삭 패는 시기의 균사는 어린 낟알에 침입한 후 세포 사이에서 자람

포자 방출시기는 건전한 식물에서 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하며, 균사는 꽃으로 침입하여 낟알이 성숙하기 전에 열매껍질이나 씨눈의 조직 내에서 자리를 잡음

 

4. 방제방법

검은 가루가 날리기 전에 검은 이삭을 뽑아 태워야 함

무병지에서 채종한 종자를 사용하고 종자소독을 철저히 하며, 저항성 품종을 재배함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하여 태우고 병든 식물체가 들어 있는 퇴비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옥수수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발생초기 7~10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하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