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콩 자주무늬병 (자반병)
식량작물 > 퀴노아 > 병해

증상

도감정보

콩 자주무늬병 (자반병)

영문명 : Purple blot, Purple spot

식물명 : 콩

1. 병원균 : Cercospora kikuchii

분생자경은 갈색이고 다소 굽으며, 관절모양의 굴곡이 있고 분지하지 않으며, 2~6개 격막, 크기 20~200×3.5~5.5

분생포자는 단생하고 침상이나 사상으로 일직선이거나 다소 굽으며, 투명하고 5~22개 격막, 정단부는 뭉툭하거나 다소 뾰족하며, 크기 55~120×3~4

 

2. 병징과 진단

종자가 맺히기 시작할 때부터 시작되고 잎의 상부에는 적자색~자갈색의 각지거나 다소 원형의 병반이 형성되고 가장 위쪽의 잎과 엽병은 마르고 갈변하며, 가장 뚜렷한 병징은 가장 어린잎에서 나타나는 황화와 마름증상임

줄기와 잎자루의 병징은 움푹 들어간 형태로 세로로 길게 줄무늬 형태로 나타나며, 병반은 처음에는 적자색을 띄다가 나중에는 검은색을 띤 흑자색으로 변함

가장 뚜렷한 병징은 종자에서 나타나고 적자색~흑자색의 병반이 종피에 형성되며, 심하게 이병된 종자는 쭈글쭈글해지고 1차전염원으로 입모를 불량하게 하거나 어린묘에 병을 일으킴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종자와 병든 식물체 잔재물에서 월동하고 이병된 종자는 발아율이 건전종자 대비 평균 45%까지 떨어짐

포자는 바람과 빗방울에 의해 주변으로 퍼지고 감염은 개화기, 결협기, 성숙기의 온도와 강우량, 강우일수와 상관이 있음

발생적온은 28~30이며, 습도가 높을수록 발병이 심하고 건조한 날씨라도 포자 발아에 충분한 정도의 이슬이 맺히는 경우에는 병이 발생됨

품종별로는 조숙계통에서 발생이 많고 개화기가 빠를수록 발병이 많았으며, 수확 10일 이내에 탈곡 시 발병이 적었음

 

4. 방제방법

저항성 품종 및 만숙 계통을 재배하고 건정종자 사용 및 종자소독 실시

이병 잔재물을 제거하고 결협기에 적용약제로 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