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가지 시들음병(위조병)
채소 > 가지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가지 시들음병(위조병)

영문명 : Fusarium wilt

식물명 : 가지

1. 병원균 : Fusarium oxysporum

불완전균에 속하며, 소형분생포자(단세포, 계란형 또는 콩팥모양, 크기 2.5~ 4×6~15)와 대형분생포자(초승달모양, 3~5세포, 크기 3.5~5.5×21~35) 형성, 후막포자는 구형, 오래된 균사에서 형성, 직경 7~11

 

2. 병징과 진단

주로 생육 중기 이후부터 발생하고 초기에 아랫잎이 시들며 밑으로 쳐지는데, 역병의 초기 증상과 비슷하며, 병 진전이 느리고 잎이 약간 누렇게 변하면서 서서히 죽음

주로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병원균이 침입하는데 병든 부위는 암갈색을 띠고 괴저가 생기는데 진전되면 땅가 부위 줄기 둘레가 썩음

병든 뿌리나 줄기는 불에 탄 것처럼 검게 보이는데 껍질은 쉽게 벗겨지는 것이 특징이며, 역병과는 달리 지상 부위는 직접 침해를 받지 않으나 과실이 작고 불량해짐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에서 균사나 후막포자 상태로 월동하며,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됨

주로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데 포장 정식 직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으며, 서늘한 지방에서는 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함

병 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4~30정도로 16이하나 35이상에서는 거의 발병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산성토양(pH 4.5~5.5)과 사질양토에서 발생이 많지만 토양산도나 수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음

 

4. 방제방법

연작을 피하고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작물로 돌려짓기를 하, 토양산도(pH 6.5~7.0)를 조절하고 사질토양에서의 재배를 피함

토양선충 등에 의해 뿌리가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며, 미숙퇴비 사용을 피하고 다비에 의한 염류집적으로 작물의 잔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

답전윤환하거나 토양을 한 달 이상 담수하면 병원균 밀도를 줄일 수 있음

등록된 약제는 없으므로 토마토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하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