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석과는 수정이 되지 않고 단위 결실이 된 경우에 나타남
◦ 꼭지 부분이 오목하고 단단한 작은 과일이나 겨우 비대해져 둥근 모양이 된 가지를 돌가지라 하는데 절단해 보면 빈틈이 군데군데 있고 종자는 거의 없으며, 작은 갈색 배구의 흔적이 있음
◦ 돌가지의 성분을 분석하면 정상 과실에 비해 탄수화물의 함량이 매우 적음
2. 원 인
◦ 개화 전·후의 저온(17℃ 이하), 고온(35℃ 이상)에서는 불임성 꽃가루가 되고 꽃가루의 발아와 꽃가루관의 신장 불량에 의해 수정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경우 종자가 형성되지 않거나 조금 밖에 형성되지 않고 씨방 속의 호르몬 함량이 충분하지 못해 세포의 신장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과실 비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 토양의 비료 성분이 많거나 질소 농도가 높을 때 특히 암모니아태질소나 칼리 비료를 많이 시용했을 때,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동화양분의 생성이 나빠져 정상화라 하더라도 석과 발생률이 높아짐
◦ 일조가 부족한 경우 많은 적엽을 실시해 동화양분이 갑자기 부족하면 낙화수가 많아지고 개화도 억제되며, 개화해도 비대가 불량하여 석과가 발생함
◦ 단화주화의 경우 착과제로 착과를 시켰다하더라도 다른 정상과의 양분 경합이 되어 돌가지로 발전하기 쉬움
◦ 가을 가지에 착과제를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도 비대가 이루어지는 시기(9월 정식 촉성재배)의 초기에 발생할 수 있고 시설 내의 어린 묘가 연약한 상태일 때도 종종 나타남
◦ 난방기의 불완전연소로 생성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은 동화작용을 저하시켜 발생하기도 함
3. 대책 및 예방
◦ 적정한 온도관리, 과실에 양·수분 공급이 잘 되도록 하여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