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ythium ultimum,
Thanatephorus cucumeris (불완전세대 : Rhizoctonia solani)
◦ P. ultimum은 난균에 속하며, 균사는 잘 발달되어 있으나 균사에 격막이 없으며, 유주자를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유주자낭이 직접 발아하여 식물체를 침해함
◦ T. cucumeris는 담자균에 속하며, 담자기는 원통형 내지 반원통형, 크기 10~23×8~13㎛, 담자포자는 타원형 내지 계란모양, 크기 7~13×4~7㎛이며, 무성세대는 분생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균사는 분기점이 약간 잘록하고 이로부터 가까운 곳에 격막이 형성되는 특징
2. 병징과 진단
◦ 주로 유묘기에 잘록 증상으로 나타나며, 병든 묘는 잘 쓰러지고 말라 죽음
◦ 어린 묘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주로 Pythium과 Rhizoctonia이지만 시들음병균(Fusarium)과 역병균(Phytophthora)도 어린 식물에서 유사한 병증을 나타내므로 증상만으로 진단하기 어려움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 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월동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함
◦ Pythium은 주로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고 병든 부위가 수침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Rhizoctonia 역시 과습할 때 발생이 많지만 병든 부위가 수침상을 잘 나타내지 않고 약간 건조한 느낌으로 마르면서 잘록해짐
4. 방제방법
◦ 병이 발생하지 않은 포장의 토양을 상토로 사용하며, 묘상의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함
◦ 적용약제를 파종 전 토양혼화 처리하거나 파종 직전 혹은 파종 직후 토양에 관주처리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