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Tomato spotted wilt virus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TSWV)
2. 병징과 진단
◦ 신초 부위가 위축 또는 괴사되고 심하면 작물이 고사하게 되며, 이병된 과일은 원형반문이 나타나거나 기형이 되어 상품가치가 없어짐
◦ 일반적으로 매개충이 가해한 부위에서 퇴록과 괴사병반을 일으키거나 윤문모양의 반점, 줄모양 병반, 위조, 왜소, 얼룩, 줄기 괴사 등의 병징을 보이지만 기주, 감염시기 및 온도 등 주변 환경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종자 및 접촉전염은 하지 않고 즙액전염 및 총채벌레에 의한 충매전염이 됨
◦ 꽃노랑총채벌레 등 4종의 총채벌레에 의해 영속전염 됨
◦ 국내에 보고된 기주식물은 고추, 토마토, 감자, 국화, 콩, 땅콩, 알타리무 등 25종의 작물에서 발생하며, 중간기주로는 미국자리공, 별꽃, 쇠별꽃, 큰메꽃, 까마중, 명아주, 털쇠무릎, 계요등, 쇠비름, 박주가리 등 13종이 보고되어 있음
4. 방제방법
◦ 건전 종자를 이용하고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건전하게 육묘함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이식시기를 조절하여,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함
◦ 주요 매개충인 꽃노랑총채벌레 등을 방제하기 위하여 발생 초기부터 적용약제를 사용하여 철저하게 방제함
◦ 유기농업자재(빅토리골드, 팜월드 등)를 이용하여 1차 감염 예방 및 2, 3차 전염을 차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