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Erwinia carotovora
2. 병징과 진단
◦ 주로 과실의 상처 부위에서 감염이 시작되며, 병든 과실은 물러 썩고 속이 소실되며, 회백색으로 변함
◦ 감염된 과실은 암록색 수침상으로 물러서 떨어지고 날씨가 건조한 경우 황록색, 황갈색으로 변색되고 꼭지부분까지 황변 노화하여 과실이 떨어지며, 과실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백색으로 퇴색하여 말라 붙음
◦ 잎이나 줄기에도 발생하지만 크게 문제되지 않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전염원이 되며,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 속에서 독립적으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1차전염원이 되기도 함
◦ 병원균은 보통 담배나방 등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함
◦ 고온다습 시 발생하는 병해로 8월이 발병 최성기이고 건조에는 매우 약하며, 병원균은 6~38℃ 사이에 생장하고 생육 최적온도는 28±2℃임
4. 방제방법
◦ 발생이 심한 포장은 벼과나 콩과 작물로 윤작함
◦ 병원균은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와 통풍이 잘 되도록 관리하고 담배나방 유충을 철저히 방제함
◦ 고온성 병해로 장마가 지난 후 비닐 피복을 제거해 뿌리 주변의 토양 온도를 낮춰주는 것도 병 발생을 낮추는 한 가지 방법임
◦ 약제 방제는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세균성점무늬병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