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Meloidogyne hapla
2. 피해와 진단
◦ 알 속에서 1회 탈피한 뒤 깨어난 2령 유충이 뿌리 속으로 침입하여 작고 둥근 혹을 형성하고 잔뿌리가 많이 생기게 하며, 그 속에서 생활하므로 양분과 수분의 흡수가 저해되어 생장이 부진하고 시들거나 일찍 고사함
3. 형 태
◦ 암컷 성충은 서양배 모양이고 길이 0.4~0.8mm, 폭 0.3~0.5mm임
◦ 수컷 성충은 실모양이고 길이 1~1.9mm 정도로 꼬리 끝은 둔한 원추형임
4. 생 태
◦ 성숙한 암컷은 몸 뒷 부분을 뿌리 겉쪽으로 향하고 음문 옆의 분비선에서 젤라틴 같은 물질을 뿌리 겉으로 분비하여 알주머니를 만들고 100~500개의 알을 산란함
◦ 알 속에서 1회 탈피 후 부화한 2기 유충은 토양 속으로 유출되어 뿌리의 선단 부분으로 침입하여 3회 탈피 후 성충이 되며, 암컷은 뿌리 조직 내에 남아 있고 수컷은 뿌리 밖으로 탈출함
◦ 이 종은 저온에서는 다른 종보다 생존력이 강하지만 고온에서는 약하고 주로 우리나라 산간지나 중북부 지방에 분포하며, 15℃에서 활동이 시작되고 생육적온은 20~25℃이며, 30℃가 한계온도 임
◦ 1세대 기간은 25℃에서 35~40일, 암컷은 24~30℃에서 4~5주 거리나 온도가 낮을 때는 50여일 걸리며, 월동은 알이나 2기 유충으로 하며, 1년에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100cm 정도임
5. 방제방법
◦ 퇴비 등 유기물을 다량 시용하여 토양 속에 유익한 미생물을 증식시킴
◦ 담수 상태에서는 장기간 생존이 불가능하므로 여름철 1개월 이상 담수하면 밀도를 크게 줄일 수 있음
◦ 파종 전 적용약제를 토양혼화 처리하여 예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