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와 진단
◦ 당근의 원뿌리에서 곁가지 뿌리가 발생해서 자라는 증상으로 상품성이 떨어짐
2. 원 인
◦ 일반적으로 묵은 종자를 사용하면 종자의 활력이 떨어져 발생되는 것으로 특히 실내 저장한 종자는 활력이 떨여져 지근 발생률이 높음
◦ 뿌리가 신장하는 바로 밑에 돌 등 장애물이 있을 경우 뿌리의 활력이 강하면 뿌리가 휘어져 곡근이 되지만 뿌리 활력이 약하면 가랑이가 갈라지는 지근이 됨
◦ 화학비료를 다량 시용 시 뿌리의 생장점에 닿아서 말라 죽는 경우 발생하고 미숙퇴비를 많이 사용할 경우 물리, 화학적인 영향으로 지근의 발생이 많아짐
◦ 토양해충 중 선충의 기생에 의하여 뿌리의 끝부분이 피해를 받아 발생하게 됨
◦ 당근은 이식을 싫어하는 대표적인 작물로 이식재배를 거의 하지 않으나 이식하면 주근에 상처 등을 입어 그 영향으로 지근이 많이 발생함
3. 대책 및 예방
◦ 가능하면 그 해 체종된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년도에 사용하고 남은 종자는 밀봉하여 냉장고 등 저온에 두는 것이 좋으며, 방 안 등 상온에 두면 발아율이 급속히 퇴화함
◦ 밭을 깊게 갈아 흙을 부드럽게 하여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 함
◦ 될 수 있는 한 완숙퇴비를 사용하고 화학비료로 밑거름을 줄 때 흙과 잘 혼합하여 줌
◦ 연작을 피하고 토양살충제를 사용하여 토양해충을 철저히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