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딸기 탄저병
채소 > 딸기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딸기 탄저병

영문명 : Anthracnose

식물명 : 딸기

1. 학명 : Glomerella cingulata (불완전세대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흑색, 구형 내지 서양배 모양, 직경 80~300, 자낭은 곤봉형 내지 관상형, 2중막, 크기 64~104×8~10.4, 자낭포자는 무색, 단세포, 약간 굽은 타원형 혹은 방추형, 크기 12~20×4~6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 타원형 내지 장타원형, 양끝이 둥글거나 한쪽 끝이 약간 좁고 모난 형태, 크기 12~20×4~6

 

2. 병징과 진단

감염된 식물체의 관부는 바깥부분부터 안쪽으로 적갈색 내지 암갈색으로 변하여 썩고 진전되면 관부의 내부까지 썩어 들어감

병든 식물체의 지상부는 감염된 쪽의 잎부터 말라죽고 심하면 그루 전체가 말라 죽음

잎자루와 포복경에서는 적갈색 내지 암갈색 방추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빙둘러 확대되면서 흑색으로 변함

감염부위에는 담황색의 포자덩어리가 형성되며, 그 위쪽은 말라 죽음

잎은 검은 먹물을 찍은 증상을 보임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식물체의 병든 부위에서 자낭각과 균사의 형태로 월동한 후 1차 전염원이 됨

병원균의 전반은 주로 분생포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시설재배 포장이나 노지포장에서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발생이 심함

고온다습(25~35)과 장마기인 6월 하순~9월 상순에 빗물에 의해 많이 발생함

 

4. 방제방법

무병묘를 이식하고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함

질소와 칼륨이 과다할 경우 발병이 증가하므로 시비에 주의함

이병된 식물체는 즉시 제거하고 6월 하순부터 8월 육묘기와 정식 후 10월에 발생이 많으므로 발생 전에 예방적으로 적용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임

발생초기 적용약제를 7~10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