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수확기 저온다습 시에 아래 잎에서 발생하기 쉬운데 처음에는 엽맥사이가 검게 되다가 점차 황화되는 것이 일반적임
◦ 마그네슘은 주맥 가까운 부위부터 이동하기 때문에 황화가 그 곳에서 발현되며, 차츰 주변 부위로 확대되어 가지만 저온 시에는 마그네슘의 이동이 느려서 주변부위에 마그네슘이 남는 경우에 잎 끝이 녹색이 됨
◦ 온도가 상승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차츰 잎 끝에 녹색 증상이 없어져 전체가 황화되며 이것은 착과에 의해서 촉진되는데 과실로 마그네슘이 이행되기 때문임
2. 원 인
◦ 토양 중 마그네슘 함량이 부족하거나 칼리 또는 석회 함량이 매누 높은 토양, 알루미늄이 활성화된 토양에서는 마그네슘의 유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발생하기 쉬움
◦ 겨울철 하우스 내의 저온다습 조건이 결핍 유발을 촉진시키지만 뿌리가 약하여 흡수저해가 일어남
3. 대책 및 예방
◦ 토양의 마그네슘이 부족한 경우 산성토양이면 고토석회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을 포기마다 관주하는데 이들을 시용하여 pH가 상승하면 붕소, 망간, 아연 등의 결핍이 발생되므로 주의를 요하고 pH가 6.0 이상이면 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함
◦ 마그네슘은 엽면살포 효과가 좋으므로 응급대책으로 황산마그네슘 1~2%액을 10일 간격으로 5~6회 엽면살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