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초기 결핍 증상은 신생엽에서 발생하며, 새롭게 전개되는 잎이 황화됨
◦ 철 결핍 증상과 매우 유사하나 증상이 심해질 경우 철 결핍은 뚜렷하게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변해가나 망간 결핍은 그물망 형태의 망상형 황화현상과 엽맥간 갈변 후 괴사 형태로 진행됨
◦ 일반적으로 철이 결핍될 경우 새롭게 발생하는 신생엽에서 증상이 발현되지만 망간이 결핍될 경우 식물체는 가장 최근에 완전히 전개된 잎, 즉 위에서 2~4번째 잎에서 증상이 발현됨
2. 원 인
◦ 망간(Mn)을 함유하지 않거나 함유량이 낮은 비료를 지속적으로 시비할 경우나 관개용수의 망간 농도가 매우 낮을 경우 발생함
◦ 토양 pH가 7.0 이상으로 높아지면 토양의 망간 가용성이 감소하여 식물체 흡수량이 적어짐
◦ 근권부의 칼슘 또는 마그네슘 농도가 너무 높을 때 망간 흡수가 억제됨
3. 대책 및 예방
◦ 망간을 포함하는 비료를 시비하거나 근권부 토양 pH가 7.5 이상이면 pH를 낮주기 위한 조치를 취함
◦ 황산망간을 물 100L에 3.7g을 용해시켜 토양에 관주처리 하되 관주 후 잎에 묻은 망간은 물로 씻어냄
◦ 응급대책으로 유산망간이나 염화망간 0.2~0.3%액에 생석회 0.3%를 가용해서 10일 간격으로 2~3회 엽면살포하되 한 낮 온도가 높은 시기에 엽면시비는 하지 말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