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작물체내 이동이 잘 되므로 결핍되면 늙은 잎의 엽록소가 파괴되어 그 안의 마그네슘이 어린잎으로 이동하게 되어 늙은 잎에서는 황백화가 일어나고 엽록소 함량이 줄어듦
◦ 작물 전체의 생장이 저해되고 잎의 잎맥은 녹색이지만 잎맥 사이는 황화 또는 백화되는 증상을 나타내며, 점차 황갈색으로 변함
◦ 줄기에서는 잎의 증상만큼 뚜렷하지는 않지만 줄기의 비대 생장이 나빠지고 뿌리의 생장도 저해됨
◦ 칼리 결핍과 달리 황변부와 녹색부위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으며, 황화 증상이 잎 응애 피해 증상과 비슷하므로 잎 뒷면을 주의 깊게 관찰함
2. 원 인
◦ 토양 중 함량이 부족하거나 충분히 함유되어 있어도 칼리 비료의 다량 시용 등에 의해 마그네슘 흡수가 방해를 받는 경우 발생할 수 있음
◦ 배수가 불량하거나 건조 등으로 인해 뿌리의 활력이 약화되어 마그네슘이 충분히 흡수되지 못할 때 주로 나타남
3. 대 책
◦ 마그네슘과 길항작용을 하는 칼리와 석회질 비료를 과용하지 않으며, 용성인비를 밑거름으로 줌
◦ 해마다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황산마그네슘을 주며, 결핍증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1~2%의 황산마그네슘액을 10일 간격으로 4~5회 엽면살포함
◦ 토양이 산성인 경우는 고토석회 비료를 10a당 80~100kg을 시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