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배추는 씨앗이 물을 흡수하면서부터 저온에 감응한 후 꽃봉오리를 형성하는 종자춘화형 작물로 배추의 입장에서는 지극히 당연한 생리현상이나 인간의 재배적 측면에서는 흡수된 양분의 대부분이 꽃을 피우고 종자 맺는 쪽으로 이동되어 영양생장을 거의 멈추게 되므로 상품성이 없어짐
2. 원 인
◦ 품종에 따라 저온에 처하여 꽃봉오리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어지는 저온의 정도와 기간에는 차이가 심함
◦ 일반적으로 평균기온 13℃ 이하에서 7~10일 정도 경과하면 생장점이 잎을 형성하는 것을 그만두고 꽃눈을 형성한 후 꽃봉오리로 발달하며, 그 후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 길이가 길어지면 고갱이가 급속히 길어지고 꽃이 핌
◦ 낮은 온도가 아닌 20℃ 정도로 관리하더라도 극단적으로 낮의 길이를 길게 해주면 꽃봉오리가 생기기도 함
3. 대 책
◦ 동일한 조건 하에서 재배하더라고 품종 간 추대 차이가 있으므로 만추대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
◦ 시설재배에서는 생육 초기에 최소한 10℃ 이상으로 관리하며, 생육 후기에는 낮의 온도가 25℃ 이상 고온이 되지 않게 관리하고 밤에는 최대한 고온으로 관리함
◦ 봄 노지재배에서는 3월 중순 이전의 파종을 피하고 투명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며, 파종 후 60일이 지나면 추대 위험성이 있으므로 적기에 수확함
◦ 육묘 시에는 육묘상의 온도를 최저 13℃ 이상으로 관리하되 만일 10℃ 이하의 저온을 받을 경우 다음날 다소 고온으로 관리해주면 저온의 효과가 상쇄되는 수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