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생강 뿌리썩음병
채소 > 생강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생강 뿌리썩음병

영문명 : Pythium root rot

식물명 : 생강

1. 병원균 : Pythium myriotylum

 

2. 병징과 진단

4월 하순 재식 후 발아하여 3~4잎 정도가 지상부로 출현할 때인 6월 하순 ~7월 상순경부터 발생하는데, 지하부의 줄기, 근경이 병워균에 의해 수침상으로 썩기 때문에 썩는 부분에 해당하는 지상부의 잎이 노할게 황화되기 시작함

지하부의 썩음이 진전됨에 따라 지상부 전체가 노랗게 변색하고 이윽고 황갈색으로 전부 고사함

병에 걸린 주를 뽑아보면 줄기의 지제부 부근이 수침상으로 썩어 잘 탈락하며, 근경도 옅은 회색으로 병이 진전하면서 그 표면에 흰색의 균사가 나와 있고 더 진전하면 근경의 내부가 완전히 썩어서 속이 빈채로 미이라화 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균사 혹은 난포자 형태로 토양입자에 흡착되거나 병든 식물체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고 병환부에 형성된 유주자낭에서 분출한 유주자가 토양 수분을 따라 주위로 확산되며, 병원균은 표토로부터 10cm 이내에 주로 분포함

생육기 특히 장마기간이 길고 여름철 기온이 높아 9월까지 더위가 지속되면 대발생하며, 병원균이 물 속에서 번식 전염하므로 저습지, 찰흙토양, 지하수위가 낮은 포장, 물빠짐이 좋지 않은 곳에서 발생이 심함

균사 생육 최고온도는 40~43, 최저 5~7, 최적 33~37, 포자낭 형성 적온은 25~35, 난포자 형성 적온은 15~20이며, pH 6~7에서 잘 자람

 

4. 방제방법

물빠짐이 좋은 포장에 재배하고 저습지 등의 지하수위가 낮은 포장은 피하며, 비가림 재배를 하면 병 발생을 줄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