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배추좀나방
채소 > 열무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배추좀나방

영문명 : Cabbage moth, Diamond-back moth

식물명 : 무

1. 학명 : Plutella xylostella

 

2. 피해와 진단

알에서 갓 깨어난 어린벌레가 초기에는 엽육 속으로 파고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식해하다가 자라면서 잎 뒷면에서 식해하여 흰색의 표피를 남기며, 심하면 잎 전체를 식해하여 엽맥만 남음

 

3. 형 태

성충은 약 6mm, 날개편길이는 12~15mm로서 몸은 갈색으로 가늘고 길며, 날개를 접었을 때 등면 중앙에 유황백색의 다이아몬드 무늬가 뚜렷함

유충은 머리쪽과 복부 끝쪽이 가늘며, 노숙유충은 길이가 약 10mm, 머리는 검고 몸은 녹색~황녹색을 띰

 

4. 생 태

연간 10~12회 발생하며, 휴면하지 않으므로 따뜻한 곳에서는 겨울에도 발육함

겨울(12~2)의 월평균 기온이 0이상 되는 지역에서 월동하며, 7이상의 온도에서 발육 및 성장이 가능함

보통 늦봄에서 초여름 사이와 가을에 발생이 많으나 피해는 초여름에 많음

성충은 주로 잎 뒷면의 엽맥부위에 1~3개씩 일생동안 100~200개의 알을 낳고 부화유충은 처음에는 엽육 내에 잠입하나 2령 이후에는 탈출하여 엽육을 식해하며, 3회 탈피 후에는 잎 뒷면의 엽맥 근처에 거친 그물모양의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됨

발육속도는 26에서 알기간 2~3, 유충기간 10~11, 번데기 3~4일로 5~6월에는 20~25일에 1세대를 경과함

 

5. 방제방법

어린 유충은 비교적 약제방제가 잘되나 노숙유충(3~4)은 방제가 어렵고 일반 포장에서는 알, 유충, 성충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7~10일 간격으로 2~3회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

약제를 선택할 때는 반드시 작용 특성이 다른 계통의 약제를 선택하여 잎 뒷면까지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