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Meloidogyne sp.
2. 피해와 진단
◦ 뿌리에 혹을 형성함으로써 물질 수송을 방해하여 신초 생장이 불량하고 잎과 과일이 작아지며, 심한 경우 착과되지 않음
◦ 방제가 필요한 유충의 밀도는 토양 300g당 3,000마리(뿌리 1g당 뿌리혹 70개 이상), 10,000마리 이상(뿌리 혹 100개 이상)에서는 현저한 생육저하를 보이며, 특히 20,000마리 이상에서는 착과가 이루어지지 않음
3. 형 태
◦ 암컷은 체장이 419~845㎛로 짧은 목을 가진 서양배 모양이며, 꼬리 끝과 항문 사이에 뚜렷한 점각부가 형성되어 있음
◦ 수컷은 791~1,432㎛로 애벌레 모양과 비숫하며, 유충은 395~466㎛ 정도임
4. 생 태
◦ 알에서 4단계 애벌레를 거쳐 성충이 되며, 1세대 발육기간은 20℃에서 57~59일, 최적 조건에서는 35일이면 한 세대를 거침
◦ 유충은 뿌리에 침투한 후에 뿌리에 혹을 형성하고 그 속에 400~500개의 알을 산란함
◦ 토양 내 선충의 수직분포는 표토에서 30cm까지 91%가 분포하고 수평분포는 동, 서, 남쪽은 비슷하나 북족은 다소 낮게 분포함
◦ 6~9월까지의 고온기에는 유충 밀도가 다소 감소하지만 온도가 낮아지는 10~5월까지는 밀도가 다시 증가하며, 2기 유충 발생 최성기는 3월 중·하순과 10월 하순~11월 상순임
5. 방제방법
◦ 한번 감염되면 방제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선충에 감염된 묘목은 폐기하고 묘목생산 포장은 반드시 토양소독을 실시하여야 함
◦ 큰방가지똥이나 보리뺑이와 같은 선충이 선호하는 월년생 잡초를 제거하면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낮출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