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호박 덩굴쪼김병(만할병)
채소 > 주키니호박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호박 덩굴쪼김병(만할병)

영문명 : Fusarium wilt

식물명 : 주키니호박,호박,애호박

1. 병원균 : Fusarium sp.

 

2. 병징과 진단

묘기에는 잘록 증상으로 나타나며, 생육기에는 잎이 퇴록되고 포기 전체가 서서히 시들며, 황색으로 변해 말라 죽음

시들음 증상을 보인지 3~5일이 지나면 회복이 어렵고 식물체는 곧 죽으며, 주로 하엽부터 황화되고 한 쪽의 줄기가 먼저 시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어떤 때는 갑자기 포기 전체가 시들기도 함

혹 끈적끈적한 수액이 병든 조직으로부터 유출되기도 하고 줄기가 갈라지기도 하며, 기온이 상승한 건조한 낮 동안에는 심하게 시들고 아침에는 다소 회복되기도 하는데, 과실이 착과된 이후에 갑자기 시드는 경우가 많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원균은 토양전염성이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에서 주로 후막포자로 월동하며, 기주가 없이도 토양 내에서 수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어려움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 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거리로 이동됨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증상이 나타남

유묘기의 발병적온은 18~20, 생육기 24~30이며, 16이하나 35이상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산성토양(pH 4.5~5.5) 사실양토에서 발생이 많지만 토양산도나 수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

 

4. 방제방법

연작을 피하고 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며, 저항성인 박이나 호박을 대목으로 사용함

석회 시용으로 토양산도를 6.5~7.0으로 조절하고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사질토양에서는 재배를 피함

미숙퇴비 사용을 금하고 다비에 의한 토양 내 염류농도가 높지 않게 주의하며, 토양선충 등 토양해충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과리함

토양을 1달 이상 담수하거나 태양열 소독을 하면 병원균 밀도를 줄일 수 있음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발생이 심한 포장은 다조멧 입제(밧사미드 등)를 이용하여 정식 전 토양 소독을 철저히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