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Monosporascus cannonballus
◦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은 둥근모양으로 검은색을 띠며, 미성숙된 포자는 갈색이나 무색을 띠는 수도 있음
2. 병징과 진단
◦ 참외 대목용 박에 심하게 발생함
◦ 주로 뿌리에 발생하는데 뿌리를 뽑아 물에 씻어 자세히 보면 뿌리 표면에 검은점이 부분적으로 무수히 찍혀 있는데 이것이 이병의 특징임
◦ 심하면 잔뿌리가 거의 없으며, 굵은 뿌리는 부분적으로 갈변되어 있음
◦ 지상부는 물에 데친 것처럼 시들게 되며, 덩굴쪼김병처럼 낮에는 시들고 밤에는 회복되는듯 하다가 결국 말라 죽게 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토양 속에서 5년 이상 생존이 가능하며, 기주작물을 연작하면 병원균의 밀도가 점차 높아져 병발생이 심해짐
◦ 또한 종자전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채종 시 뿌리부근의 병원균이 종자에 묻지 않도록 주의함
◦ 고온성 병해로 상습지에서는 기온이 30℃일 경우 88%, 20℃일 경우 17%의 발병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토양의 온도가 병 발생이 큰 영향을 미침
4. 방제방법
◦ 연작을 피하고 토양 내 온도를 가급적 낮게 유지함
◦ 참박보다는 호박대목이 다소 내병성이므로 상습지에서는 호박대목을 이용함
◦ 병든 식물은 뿌리까지 뽑아 땅속 깊이 매몰하거나 소각하고 이병지 토양이 작업 기계에 묻어 다른 포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주의함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역병에 준하여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