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Liriomyza trifolii
2. 피해와 진단
◦ 성충이 산란관을 통해 알을 잎 속에 낳고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잎 조직 내에서 구불구불한 굴을 파고 다니면서 가해함
◦ 잎 표면에 흰색의 구불구불한 줄무늬와 검은 반점들이 많이 생김
3. 형 태
◦ 성충은 몸길이가 2mm 정도이며, 머리, 가슴 측판 및 다리는 대부분 황색이고 이외는 검은색으로 광택이 있음
◦ 암컷 성충은 수컷에 비해 약간 크고 복부 말단에 잘 발달된 산란관이 있음
◦ 유충은 황색 또는 담황색의 구더기 모양이고 3령을 경과하면 3mm 정도의 다 자란 유충이 됨
4. 생 태
◦ 성충은 약 300~400개를 산란하고 알은 대부분 잎 앞면에 산란하지만 뒷면에 산란하기도 하며, 다 자란 유충은 구멍을 뚫고 나와 땅으로 떨어져 번데기가 되나 발생이 많을 때는 잎에서도 용화되기도 함
◦ 알부터 성충까지 발육 기간은 15℃에서 47~58일, 20℃에서 23~28일, 25℃에서 14~15일, 30℃에서 11~13일 정도임
◦ 번데기로 월동하며, 노지에서는 4~11월에 주로 발생하나 시설 내에서는 연중 발생하므로 15회 이상 발생할 수 있음
5. 방제방법
◦ 시설 재배지에서는 한랭사를 설치해 유입을 차단하고 묘를 통해 확산될 가능성이 크므로 유충 피해가 없는 건전한 묘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함
◦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땅 속 번데기가 우화하는 시기나 알에서 유충이 깨어나는 시기에 5~7일 간격으로 2~3회 정도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