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Meloidogyne spp.
2. 피해와 진단
◦ 낮에 상위엽이 시드는 증상이 나타나다가 심해지면 생육이 많이 위축됨
◦ 뿌리를 파 보면 여러 개의 크고 작은 혹이 형성되어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M. incognita(고구마뿌리혹선충), M. arenaria(아레나리아뿌리혹선충), M. hapla(당근뿌리혹선충), M. javanica(자바니카뿌리혹선충) 4종의 뿌리혹선충이 알려져 있음
3. 형 태
◦ 암수가 모양이 다른데, 암컷은 서양배 모양이고 길이 0.4~0.8mm, 폭 0.3~0.5mm이고 수컷은 길이 1.0~1.9mm의 실모양으로 구침이 17~32㎛임
4. 생 태
◦ 알에서 깨어난 제2령 유충이 뿌리 속에 침입해 3번 탈피 후 성충이 됨
◦ 암컷은 몸 뒷부분을 뿌리 겉쪽으로 향하고 음문 옆 분비선에서 젤라틴 같은 물질을 뿌리 겉으로 분비해 알주머니를 만들어 100~500개의 알을 낳음
◦ 24~30℃에서 1세대 기간은 4~5주, 온도가 낮을 때는 50여일이 걸림
◦ 기주식물 침입적온은 15~20℃, 뿌리혹형성 25~30℃, 생육적온은 20~25℃임
5. 방제방법
◦ 정식 전 적용약제를 토양혼화 처리하거나 정식 직후 토양관주 처리함
◦ 여름철 작물이 없는 비닐하우스에 비닐터널을 만들고 하우스 문을 꼭 닫아 4주 정도 처리하면 토양의 온도가 40℃ 이상 올라가 선충과 토양 병균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음
◦ 벼를 재배할 수 있는 밭에는 1~2년간 벼를 재배하거나 여름철에는 논농사를 가을 이후에는 채소를 재배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고 객토를 해 선충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