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Bradysia agrestis
2. 피해와 진단
◦ 육묘 중에 상토와 뿌리부위에 분포하며 뿌리를 가해하고 양액재배 시에는 암면큐브 위의 균류가 발생한 부위에 산란하여 부화한 유충이 지제부를 가해함
◦ 지상부가 시들음 증상을 보이며, 역병이나 청고병의 시들음 증상과 비슷하고 뿌리나 지제부 내 도관부 갈라짐, 갈변화 증상으로 인해 병으로 오인할 수 있음
3. 형 태
◦ 성충의 크기는 1.1~2.4mm이며, 머리는 흑갈색이고 몸은 대체로 검은색을 띰
◦ 유충은 몸길이 4mm정도로 머리는 검고 몸은 투명하여 섭식한 먹이가 보임
4. 생 태
◦ 온실 내에서 성충은 4월 중순에 증가하고 5월 하순에 가장 많이 발생함
◦ 여름에는 발생이 줄었다가 가을에 다시 증가하여 9~10월에 발생이 많고 20~25℃ 조건의 시설하우스에서는 월 2회 발생이 가능함
◦ 알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은 약 4주이며, 알에서 번데기 단계까지 발육에 필요한 시간은 온도에 따라 차이가 심해 25℃에서는 3주일인 반면 10℃ 저온에서는 약 3개월까지 걸림
◦ 암컷 성충은 2~10개의 난괴로 모두 100~300개를 산란하며, 산란한 알은 4~6일 내에 부화하여 유충 기간 12~14일, 번데기 기간 5~6일을 지낸 후 성충으로 우화하며, 성충의 수명은 약 7~10일 가량임
◦ 어둡고 습하며, 잡초가 많은 시설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유충은 햇빛을 기피하고 수분이 많은 곳을 선호하는 특성이 있음
5. 방제방법
◦ 퇴비더미 등에서 서식하다 온실로 이동하므로 주위환경을 청결히 하고 미숙 퇴비를 시용했을 경우 발생이 많으므로 완숙퇴비를 사용함
◦ 황색 끈끈이 트랩이나 감자 절편을 이용하여 예찰하고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10일 간격으로 3회 근부 관주처리하여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