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참깨 모자이크병
특용작물 > 참깨 > 병해

증상

도감정보

참깨 모자이크병

영문명 : Mosaic

식물명 : 참깨

1. 병원균 : Turnip mosaic virus (TuMV), Watermelon mosaic virus (WMV)

 

2. 병징과 진단

TuMV에 의해 초기에 감염되면 심한 모자이크 증상과 잎과 줄기가 기형으로 되는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위축되고 생육이 중지되며, 생육 중기에 감염되면 초기에 잎맥 투명의 병징이 나타나고 차차 황색의 모자이크로 변하는데, 때로는 잎이나 줄기에 괴저 반점이 나타나기도 함

WMV에 의한 초기 병징은 잎에 엷은 황색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다음에 나오는 잎은 많은 황색반점이 잎 전면에 나타나며, 진전되면 잎맥 투명과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게 되고 때로는 고사리 잎으로 되고 잎 주위에 주름이 생기기도 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TuMV는 인공접종에 의해 즙액전염이 잘 되며,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해 전염되고 무시충보다 유시충이 더 관여하며, 갓 부화한 새끼는 보독되지 않지만 3일이 되면 병을 옮길 수 있게 되어 5분 동안 병든 식물 흡즙해도 바이러스 획득이 80% 정도이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전염력이 떨어져 5시간 후면 전혀 전염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토양전염이나 종자전염은 되지 않으나 십자화과 채소나 화초류, 잡초 등이 전염원이 됨

WMV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19종의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형 전염되고 획듭 흡즙시간은 30초이나 5시간 정도 지나면 전염되지 않으며, 또한 즙액전염을 하므로 상처 부위가 접촉될 때 전염이 되고 병든 식물체가 월동하게 되면 1차전염원이 되기 쉬우며, 과채류와 콩과작물은 자연환경 하에서 자연감염이 잘 됨

 

4. 방제방법

포장 주변에 화본과, 과채류, 콩과작물 재배를 지양하고 잡초를 제거함

병든 식물체는 즉시 제거하고 매개충인 진딧물을 철저히 방제함

고추 등에 등록된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하여 1차 감염 예방 및 2, 3차 전염을 차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