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brown spotting
식물명 : 오이
1. 피해증상
◦ 주로 촉성․ 반촉성 재배에서 본엽이 14~15매 정도 전개될 때 아랫잎에서 초기증상이 나타나며, 초기에는 주엽맥을 따라 작은 반점들이 점선상으로 나타나고 점차 엽맥 사이로 번지며 황갈색의 건조된 불규칙한 반점으로 됨
◦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그대로 생육이 계속되나 심해지면 엽맥 사이가 황갈색의 줄무늬 반점으로 되며 잎이 말라죽기도 함
◦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며 점차 위쪽으로 번져가는데 생장점 부근이나 곁줄기의 새로운 잎에서는 발생되지 않으며, 중간 이하의 원줄기 잎에서 많이 발생하나 심할 경우에는 아들줄기의 잎에서도 발생함
◦ 과실은 불량과(단형과, 부정형과)가 많아지나 과실 표면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2. 원 인
◦ 대개 여름오이를 겨울철 시설재배를 할 경우 주로 많이 발생하는데, 일조량이 적고 온도가 낮은 12월~4월에 걸쳐서 많이 발생하며, 육묘기나 아주심기 직후에는 잘 발생되지 않음
◦ 야간온도가 10℃ 이하로 낮거나 야간의 지온이 15℃ 이하로 낮은 상태에서 재배를 할 경우 발생이 조장됨
◦ 겨울철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주어 지온이 갑자기 저하될 때에도 발생이 되며, 품종간에도 차이가 있는데 고온 요구도가 높은 여름품종에서 발생이 많음
3. 대책 및 예방
◦ 여름재배용 품종을 겨울과 봄의 저온, 약광 하에서 재배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장해로 환경조절과 품종의 선택이 중요함
◦ 겨울철 저온기 재배 시 주의해야 하며, 무가온의 반촉성 재배와 터널재배 시에는 무리한 조기 파종과 아주심기를 피함
◦ 야간 온도관리를 철저히 하여 기온과 지온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며, 겨울철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주지 말고 날씨가 불순할 경우 물주는 것을 지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