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Seoul bark beetle
식물명 : 복숭아
1. 학명 : Scolytus seulensis
2. 피해와 진단
◦ 일반적으로 태풍 등의 피해로 쇠약해진 나무에 발생이 많으나 건전한 나무에도 피해를 줌
◦ 성충과 유충이 수피 밑에 복잡하게 굴을 뚫고 다니며 갉아먹으므로 형성층 부분이 피해를 받고 목질부에도 지렁이가 다닌듯하게 얕은 피해 흔적을 남김
◦ 줄기의 표피에 직경 2mm 정도의 구멍을 내므로 발견이 가능하고 피해를 받은 나무는 세력이 점차 쇠약해지고 과실의 비대에도 지장을 주며, 결국 나무가 말라 죽음
3. 형 태
◦ 성충은 4mm 정도이고 가슴부는 적갈색, 날개는 흑갈색이며, 유충은 유백색임
4. 생 태
◦ 연 1회 발생하며, 유충태로 피해 줄기 속에서 월동
◦ 성충은 5월 하순~8월에 결쳐 발생하고 나무의 껍질 밑에 구멍을 따라서 수십 개의 알을 열을 지어 산란함
◦ 줄기 껍질을 완전히 뚫고 침입하는 경우와 인피 부분만 뚫는 경우가 있는데, 후자인 경우 수지가 나오고 피해 구멍으로 배설물이 배출됨
5. 방제방법
◦ 비배관리를 합리적으로 하여 나무 세력을 건전하게 유지하는 것이 피해방지를 위해 중요함
◦ 성충이 날아드는 침입 초기에 나무줄기와 가지에 충분히 묻도록 살충제를 살포하고 나무좀류 적용약제나 심식충류 또는 깍지벌레 약제로 동시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