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 쇠녹반점 현상

영문명 : x

식물명 : 벼

1. 피해 증상

전개된 본엽 6~7엽 중 중간잎(4~5)에만 소형 및 중형 쇠녹반점 발생하며, 분얼중기 고온 후에 집중 발생

장마기에 접어들어 자란 새잎에는 반점 없고 초장 및 분얼은 정상

품종에 관계없이 나타나고 토심이 깊고 비옥하며, 비료기가 많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몰린 곳에서 심하게 발생

잎에 소형 갈색반점이 많이 생기므로 아연결핍증이나 오존피해와 혼동

아연결핍 : 논의 pH가 높은 곳에서 벼가 난쟁이가 되면서 쇠녹반점 현상이 나타남 산화아연 2~3kg/10a 시용

오존피해 : 소형 갈색반점이 많이 나타나나 주로 지면에 가까운 하엽에서 피해흔이 기류를 따라 발생하고 잎이 겹친 곳에는 반점이 없음(환원장애는 겹친 잎에도 생김) 배수 및 환수처리

 

2. 원 인

이분해성 유기물(볏짚, 보리짚, 자운영 생체 등) 과다시용 및 분얼 초기 고온화로 일시적 강환원 상태 유발

작토층이 강환원 상태로 되어 아산화철 등의 환원물질이 많이 용출되었으나 근권 밖으로 배출이 지연되거나 불가하면 잎에 쇠녹반점 발생

 

3. 대책 및 예방

장애가 심한 논은 배수 및 환수처리하여 근권 산화유도

장마 후에도 고온 및 환원우려 시에는 온도가 낮고 용존산소가 풍부한 새물 갈아주기

물 갈아대기 등 근권 환원이 개선되면 곧 새잎이 전개되어 별 문제없으므로 특별한 대책 필요 없음

질소비료 및 유기물 적정 시비, 완효성비료 시용

과다한 써레질은 투수량 감소로 강환원 상태 초래할 수 있으므로 지양

쇠녹반점현상(약한 경우)

쇠녹반점현상(약한 경우)

쇠녹반점현상(심한 경우)

쇠녹반점현상(심한 경우)

아연 결핍 증상

아연 결핍 증상

오존가스 피해 증상

오존가스 피해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