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magnesium deficiency
식물명 : 오이
1. 피해증상
◦ 과실 비대 최성기에 달할 무렵 아래 잎의 표면이 스친 것처럼 되고 잎색이 황화되며, 심해지면 잎 가장자리에 녹색을 남기고 엽맥 사이가 황화됨
◦ 발생위치나 엽맥 간의 황백화 현상이 칼리결핍과 비슷하나 마그네슘결핍에서는 입의 내측에서 칼리결핍에서는 잎의 가장자리로부터 증상이 나타남
2. 원 인
◦ 토양의 산성화로 인해 토양 중에 마그네슘의 함량이 부족할 때, 하우스 재배에서는 칼리비료, 암모니아태 질소비료를 많이 시용하면 마그네슘의 흡수가 억제될 때 나타남
◦ 퇴비를 많이 주거나 마그네슘 함량이 적당할 때도 발생하는 경우에는 토양 중에 칼리와 석회가 과다하게 잔류되어 이들이 서로 길항작용을 일으켜 마그네슘의 흡수가 억제되어 발생됨
◦ 이어짓기를 오래하거나 접목재배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특히 1~2월 저온기에 주로 발생하며, 지온이 상승하는 3월 이후에는 대체로 회복됨
3. 대책 및 예방
◦ 칼리, 암모니아태 질소 등 마그네슘의 흡수를 저해하는 비료를 과다하게 주지 않도록 함
◦ 저온기에는 지온이 낮아 작물이 마그네슘을 흡수하기 어렵게 되므로 지중난방과 투명비닐멀칭 등 관리를 철저히 함
◦ 응급대책으로 1~2%의 황산마그네슘 수용액을 주 3~5회 엽면살포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