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Sclerotinia rot
식물명 : 콩
1. 병원균 : Sclerotinia sclerotiorum
◦ 자낭균에 속하며, 균핵은 발아하여 1~8개 자낭반 형성, 자낭반 위에 자낭(곤봉형 내지 원통형, 크기 120~200×8~11㎛) 형성, 자낭 내 8개의 자낭포자(타원형, 크기 10~18×5~8㎛) 형성
2. 병징과 진단
◦ 주로 줄기의 마디부위나 꼬투리에서 발생하나 꽃잎이 떨어져 붙어 있는 잎과 줄기에서도 발생함
◦ 식물체의 감염부위는 수침상으로 변하고 병이 진전되면 회백새 내지 회갈색의 병반이 형성되어 감염부위를 중심으로 위 아래로 확대됨
◦ 병든 부위는 마른 상태로 썩고 그 외부 및 내부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되며, 감염된 줄기의 지상부는 시들고 말라 죽음
◦ 국내 두류작물 중 콩과 강낭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 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월동 후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함
◦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함
◦ 두류작물 뿐만 아니라 가지고, 십자화과, 국화과 등 많은 작물을 침해하여 균핵병을 일으킴
4.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으며,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무멀칭재배에 비해 발생 억제효과가 있음
◦ 담수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키며, 발생이 심한 곳은 화본과 등 다른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함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점무늬병 약제를 이용하여 발생초기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