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rice leaf miner
식물명 : 벼
1. 학명 : Hydrellia griseola
2. 피해와 진단
◦ 한 잎에 3~4마리가 기생하면 잎이 완전히 말라죽어 논 물 위에 늘어짐
◦ 식흔은 처음에는 담녹색이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으나 점차 하얗게 되고 갈색으로 변하면서 말라 죽음
◦ 이앙 후 물을 많이 댄 논에서 많이 발생함
3. 형 태
◦ 성충은 2mm 내외의 작은 파리로 몸 빛깔은 청회색~암회색이며, 머리는 황색~황갈색을 띰
◦ 유충은 유백색의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서 항문판은 크고 반원형임
4. 생 태
◦ 월동태는 확실하지 않지만 다 자란 유충이나 번데기 상태로 뚝새풀, 겨이삭 등의 잎집이나 잎 속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추정됨
◦ 연 7~8회 발생하며, 그 중 논에서는 연 2회 발생하는데, 성충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과 6월 중순임
◦ 이앙 직후의 논에 성충이 침입하여 수면 위를 걸어다니다가 주로 수면에 늘어진 잎에 산란하며, 유충은 부화 직후 잠입하여 엽맥을 따라 전진하면서 굴을 파고 가해함
◦ 벼에서는 보통 1세대를 경과하고 이앙 직후부터 성충이 어린잎에 산란하고 부화한 유충이 벼에 피해를 준 후 성충이 되어 논 주변 잡초로 이동함
5. 방제방법
◦ 유충 기간이 짧기 때문에(11일) 방제시기를 놓치기 쉬우며, 질소질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지 말고 이앙 후 물을 깊이 대지 않음
◦ 이앙 당일 상자처리하면 방제가 가능하나 이앙 직후 활착할 시기에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적용약제를 수면처리하여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