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스파티필럼 뿌리썩음병

영문명 : root rot

식물명 : 스파티필럼

뿌리썩음병

 

1. 학명 : Cylindrocladium spathiphylli

분생포자는 긴 막대모양, 양끝이 둥글고 1~3개의 격막, 크기 67.5~95×4.8 ~6.5

 

2. 병징과 진단

처음에는 오래된 잎이 생기를 잃고 시들며 황화되는 증상을 보이다가 차츰 잎이 말라죽고 감염된 잎자루의 기부가 썩음

시들은 잎자루 기부에 암갈색으로 방추형의 점무늬가 형성되며, 습한 조건에서는 병든 부위가 썩으면서 잎이 꺾이게 됨

병징을 나타나기 시작한 식물체의 뿌리는 전체 뿌리의 30~40% 이상이 심하게 갈변되어 있고 굵은 뿌리의 경우 적갈색 병반으로 감염되어 있으며, 갈변된 뿌리조직 표면에서는 흰색의 균사체가 다량 형성되어 있음

다습한 조건에서는 잎에서도 갈색 내지 검은색의 불규칙한 병반이 형성되며, 병반 가장자리에 황색의 띠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임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주로 기온이 높아지는 6월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7~8월 장마철 직후 급격한 피해가 나타남

소형분화보다 폿트 직경이 15cm 이상 중대형 분화류에서 피해가 많은데, 주로 벤치 위에 재배되는 소형분화에 비해 중대형 분화는 하우스의 토양 바닥에 직접 폿트를 놓고 재배하기 때문에 병원균의 전염이 용이하고 배수불량 및 근권온도 상승 등에 따라 발생이 많음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병원균의 활동이 가장 왕성하고 특히 토양내 온도가 19~22보다 높은 25~29조건에서 피해가 증가하며, 병원균의 생육온도는 25~30에서 가장 양호하고 생육최적온도는 27

감염된 줄기와 뿌리 표면에 다량의 병원균 포자가 형성되고 두상관수 시 물에 의해 병원균이 튀어 전반되거나 화분의 배수구멍을 통해 유출되어 전반됨

 

4. 방제방법

화분이 토양과 접촉되지 않도록 베드 재배하는 것이 안전하고 근권온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관리함

병원균(분생포자)

병원균(분생포자)

피해 증상(1)

피해 증상(1)

피해 증상(2)

피해 증상(2)

피해 증상(3)

피해 증상(3)

피해 증상(4)

피해 증상(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