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물바구미

영문명 : oryzophilus

식물명 : 벼

1. 학명 : Lissorhoptrus oryzophilus

2. 피해와 진단

성충은 잎의 엽맥을 따라 표피만 갉아 먹고 흰색 띠모양의 식흔을 남김

식흔은 세로로 일렬로 줄지어 있고 잎의 선단부위에 비교적 많음

유충은 뿌리를 갉아먹기 때문에 뿌리가 끊어지며, 피해를 받은 포기는 초장이 크지 못하고, 분얼이 억제되어 줄기수가 감소

3. 형 태

성충은 3mm 안팎으로 암회색에 등 중앙에 부정형의 검은색 반점이 있음

유충은 머리와 12개의 마디로 구성되고 우유빛을 띠며, 다 자란 유충은 10mm 전후이고 2~7마디에 기문이 등 위쪽으로 돌출되어 6개 돌기로 보임

4. 생 태

미국 미시시피강 유역 원산, 일본 1976, 한국 1988년 경남 하동 최초 발견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제방의 잡초, 휴반, 산기슭 낙엽이 덮여 있는 지표층의 1~5부위에서 월동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월동처 부근의 볏과잡초 등의 새잎을 섭식하고 5 하순경 본답으로 이동

단위생식 계통으로 본논 이동 섭식 3주 후부터 산란하며, 산란수는 200개 정도로 수심 1~3mm 이내 제1본엽과 제2본엽의 잎집(엽초) 부위에 산란함

부화 유충은 1~3일간 엽초 내 엽육 섭식 후 물 속으로 떨어져 뿌리로 이동하여 가해하고 3번의 탈피를 거쳐 7월 상순부터 팥알모양의 흙집을 만들고 뿌리에 붙어서 번데기가 됨

알기간 7~10, 유충기간 25~40, 번데기 기간 7~14

성충 발생최성기는 7월 하순~8월 상순으로 우화한 성충은 벼의 새잎을 가해하다 8월 하순부터 월동장소로 이동함

5. 방제방법

육묘상 처리 및 이앙 후 수면처리, 신선충 발생기인 7월 하순~8월 상순 경엽살포

성충을 대상으로 희석제 농약 처리는 성충의 산란 기간이 길어 효과가 떨어짐

요방제 수준 : 5월 하순경 주당 성충 0.5마리

성충

성충

유충

유충

식흔

식흔

피해포장

피해포장

토와

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