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Scab, Fusarium blight
식물명 : 벼
1. 병원균 : Gibberella zeae (불완전세대 : Fusarium graminearum)
◦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포자는 방추형, 3개 격막, 크기 20~30×3.7~4.2㎛임
◦ 분생포자는 초승달형, 3~5개 격막, 크기 35~72×4~6㎛임
※ 식물체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진균독소 디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 DON), 니발레놀(Nivalenol ; NIV), 지렐레논(Zearalenone ; ZEA) 등을 생성하여 인축에 피해를 일으키나 쌀의 경우 대부분 가공과정에서 제거되고 세척과정에서 다시 제거되므로 피해가 나타날 가능성은 적음
2. 병징과 진단
◦ 이삭은 처음 일부 벼알이 암갈색으로 변색되고 점차 진전되면 벼알의 껍질부위에 홍색의 곰팡이(분생포자)로 뒤덮이는데 포장에서는 벼 알에 분생포자가 뒤덮인 것을 찾아보기 어려움
◦ 벼알과 알 사이에 흰균사가 발생하기도 하며, 오래된 병환부에는 흑색소립(자낭각)이 산생하기도 함
◦ 감염된 벼 이삭은 흰색, 담갈색, 분홍색, 검붉은색, 회갈색 등 다양한 색을 띠는데, 감염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다른 병원균에 의한 피해와 비슷하기 때문에 병징만으로는 발병 원인을 쉽게 알 수 없음
◦ 줄기에 발생하면 잎집의 부착부위가 갈색으로 변함
※ 키친타올을 멸균수에 살짝 적신 후 지퍼백에 잘 펴고 병든 이삭을 타올 위에 올려놓고 밀봉한 후 3~4일 동안 상온에 두면 흰 타올에 붉은 색소가 물드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이 균사, 분생자 또는 자낭포자 형태로 병든 식물체나 벼알, 맥류나 화본과 잡초의 병든 줄기나 잎, 종자에서 월동하여 다음해의 전염원이 됨
◦ 병의 발생에는 습도가 가장 중요한데 강수일수가 많아 95% 이상의 상대습도가 3~5일 이상 유지될 때 병 발생이 증가함
◦ 특히 출수기 이후 계속되는 강우는 병 발생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4. 방제방법
◦ 보리 등에 먼저 침해하여 밀도가 증가한 다음 벼에 병을 일으키므로 병이 많이 발생했던 논은 수확 잔재물을 모두 태우거나 완숙퇴비로 만들어 사용함
◦ 병에 걸린 종자를 파종 할 경우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소독을 철저히 함
◦ 수확 즉시 건조시켜 이병립의 확산을 방지하고 건조 시 풍속을 최대로 하여 가능한 이병립을 많이 제거함
◦ 등록된 약제는 없으므로 키다리병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출수기에 방제함(무인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