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 둥근무늬낙엽병

영문명 : Circular leaf spot

식물명 : 감

1. 병원균 : Mycosphaerella nawae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흑갈색, 구형 내지 계란형, 직경 52.5~100, 자낭은 약간 원통형, 크기 24~45.6×3.6~7.6, 자낭포자는 방추형, 1개 격막, 격막부위 약간 오목, 크기 6~12×2.4~3.6

병원균 분리배양이 까다롭고 어려움

 

2. 병징과 진단

잎에만 발생되며, 8월 하순 이후 병반이 나타남

처음 흑갈색 원형반점이 생긴 후 점차 커져 3~5mm 정도로 확대되면 병반 내부가 담갈색~적갈색, 병반 주변은 푸른색을 띠고 나머지 부분은 점차 붉게 되어 낙엽됨

심하면 나무 전체가 낙엽되고 과실은 연화되며, 과피는 두꺼워져 상품성이 없어짐

드물게 나타나는 급성형 피해는 기온이 갑자기 낮아졌을 때 생기는데 잎이 붉게 되지 않고 누렇게 변색되며 일식에 낙엽 및 낙과 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병든 잎 뒷면에 위자낭각을 형성하고 월동

5월 상순부터 자낭포자가 비산되기 시작하여 5월 하순~ 6월경에 최대 비산하고 강우 후에 비산이 이루어지므로 이 시기에 비가 많으면 발병이 심해짐

자낭포자는 40~120일 정도 잠복기를 거쳐 온도가 낮아지면 발병하고 생육적온은 20~25, 30에서 생육이 나쁘고 35에서는 생육이 불가능하므로 주로 9월 이후 발병(만성형)하나 한여름에도 저온이 되면 발병(급성형)

나무의 생육이 부진하면 피해가 크고 조생종보다 만생종이 병에 약함

5~6월 비가 많은 해에 특히 심하며, 여름철 기온이 낮은 해에 심함

 

4. 방제방법

세력이 약한 나무는 밑거름을 충분히 주어 건강하게 하고 한여름 고온 건조 시에 수분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관수

5월 상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방제하되 탄저병 및 흰가루병과 동시방제

비온 후에 포자비산이 많으므로 비오기 전 보호살균제 또는 비온 후 침투성 약제를 살포

적용약제 : 에이플(3), 차세대(1+4), 한빛(1), 삼공헥사코나졸(1), 월계수(+1), 보가드(1), 성보탄저박사(1+1), 에머넌트(1)

병원균(자낭포자)

병원균(자낭포자)

만성형 병반부 모양

만성형 병반부 모양

만성형 병징

만성형 병징

만성형 병징

만성형 병징

급성형 병징

급성형 병징

급성형 병징

급성형 병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