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 잎마름병(엽고병)

영문명 : Leaf blight

식물명 : 감

1. 병원균 : Pestalotia diospyri

 

2. 병징과 진단

주로 잎에 발생하며, 간혹 가지와 과일에도 발생

병반은 적갈색의 원형 또는 부정형으로 나타나고 건전부와 병반 부위가 흑갈색의 명확한 선이 생김

병반이 오래되면 표면에 검은색의 작은 점으로 된 분생포자층이 생김

모무늬낙엽병과 비슷하나 발생이 빠르고 잎의 가장자리부터 발병함

6월경부터 잎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7~9월에 발생이 많고 피해는 크지 않으나 심한 경우 조기 낙엽을 일으킴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든 잎, 가지에서 분생포자나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됨

5~6월경 강우 시 포자가 비산하여 상처 부위를 통하여 침입 후 발병하고 포자 발아는 25에서 6시간 이내에 완료되며, 발육 최적온도는 28전후임

6~7월경 비가 많이 오는 해에 발병이 심하며, 비배관리가 불량하고 건조가 심한 과원에서 발병이 많고 모무늬낙엽병보다 1개월 빨리 발생

 

4. 방제방법

발병이 심한 과원에서는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고 나무 세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비배관리 철저

상처 난 부위를 중심으로 발병하므로 강풍 후에 약제를 살포하되 아직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6~9월까지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전용약제로 방제

가능약제 : 에이플(3), 차세대(1+4), 한빛(1), 삼공헥사코나졸(1), 월계수(+1), 보가드(1), 성보탄저박사(1+1), 에머넌트(1)

병원균(분생포자)

병원균(분생포자)

잎의 병징

잎의 병징

잎의 병징

잎의 병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