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 누른오갈병(황화위축병, 노균병)

영문명 : Downy mildew

식물명 : 벼

1. 병원균 : Sclerophthora macrospora (=Phytophthora macrospora, P. oryzae)

역병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노균병과 같이 순활물기생균으로 인공배양되지 않음

유주자낭은 크기 60~100×43~64이며, 자웅동주균으로 벼 잎 조직 안에서 무수히 많은 난포자를 형성하는데 장난기의 크기는 46~80×42~69

 

2. 병징과 진단

개화기와 출수기 전후에 병 증상이 뚜렷하고 병든 포기는 위축되고 노랗게 보이며, 잎에는 연한 노란색을 띠는 작은 퇴록 반점이 생기는데 어린잎에서 뚜렷이 볼 수 있음

일부 아래 잎은 뒤틀리거나 구부러지기도 하는데 심하게 병든 포기에서는 뒤틀고 기형적인 이삭이 나옴

병든 포장은 전체적으로 누렇게 보이고 위축된 포기에서 길게 자란 잎들이 삐쭉삐쭉 튀어나오며, 병 증상이 바이러스병과 유사하게 보여 진단을 잘 못하는 경우가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저온다습한(온도 18~20, 습도 100%) 날이 계속되면 급격히 번짐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한 난포자는 이른 봄에 기온이 10이상이고 습도가 거의 100%일 때 발아하여 묘상에서부터 감염되기도 하고 하루 이상 침수된 논에서 주로 발생됨

30이상인 고온기에는 병원균의 활동이 멈추고 병징도 잘 나타나지 않음

벼뿐만 아니라 보리, , 옥수수 등 거의 모든 화본과 작물을 침해하고 화본과 잡초가 중가 기주가 되기도 함

 

4. 방제방법

효과적인 방제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종자소독을 철저히 하면 병 발생을 낮출 수 있음

(참고)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일본에서는 리도밀(1)이 등록되어 있음

발병 잎 내부의 유주자낭

발병 잎 내부의 유주자낭

식물 조직 안의 난포자

식물 조직 안의 난포자

발병 포장

발병 포장

잎의 병징

잎의 병징

줄기의 병징

줄기의 병징

출수기 병징(기형 출수)

출수기 병징(기형 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