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국화 버들눈(유아)

영문명 : Crown bud

식물명 : 국화

1. 피해증상

정화가 미숙 꽃눈이 되는 현상으로 분화된 꽃눈의 발달이 억제되어 총포가 많아지고 외부의 것이 신장해서 유엽이 되고 꽃대가 신장하게 됨

특히 스텐더드 국화는 측지가 발달하여 개화하게 되므로 상품 생산에 치명적인 장해가 됨

 

2. 원 인

장일 상태에서 포기의 성숙 또는 노화가 진행되어 일장 반응이 저하되어 있을 꽃눈이 분화되거나 또는 단일에서 화아분화의 준비 상태(화숙상)가 부족하거나 온도 부족 또는 적절한 일장 범위를 벗어나서 화아분화에 이상이 왔을 때 발생함

모주의 적심 횟수가 3회 이상 횟수가 많을수록 발생이 쉬워지고 적심에서 삽수 채취까지의 기간이 길어져 삽수 채취 후 다음 삽수 채취까지 4주 이상 되면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지며, 그 영향은 적심 횟수보다도 더 크며, 모주의 수분 부족을 초래하여도 발생이 많아짐

본포 정식 후 시비량이 과다하고 묘가 커서 초기 생육이 매우 왕성한 줄기와 굵은 포기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특히 영양생장 기간이 길어서 포기가 과도하게 커져 일장에 대한 반응력이 떨어지면 많이 발생함

 

3. 대 책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차광재배 시에도 적절한 일장을 유지시키고 지나친 고온 및 저온을 회피하는 조치가 필요함

유아가 발생하면 제거하고 바로 아래의 측지를 키우는 것이 좋으나 한 번 유아가 발생하면 가지나 잎이 붙은 모양이 불균일하여 품질의 저하를 피할 수 없으므로 예방에 주력해야 함

조명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암기 중단 3시간 5시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크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