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rice stripe virus
식물명 : 벼
1. 병원균 : Rice stripe virus (RSV)
2. 병징과 진단
◦ 전형적인 병징은 넓은 황색줄무늬 혹은 황화 증상이 나타나고 잎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도장하면서 뒤틀리거나 아래로 늘어져 고사
◦ 병에 걸리면 분얼경이 적고 출수되지 않으며, 출수가 되더라도 기형이 되거나 이삭을 형성하지 못함
◦ 병징은 묘판말기나 6월부터 나타기 시작하여 7월 하순~8월 상순에 가장 많이 나타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종자, 즙액, 토양으로 전염하지 않고 매개충인 애멸구에 의해 전염
◦ 애멸구 성충이 보독충이면 알을 통한 경란전염으로 다음세대로 이어짐
◦ 1년에 5세대 발생하는데, 논둑이나 제방의 잡초에서 3~4령 약충으로 월동, 3월 하순부터 보리밭으로 이동하여 1세대 경과, 5월 중순경 2세대 성충이 묘판이나 본답으로 이동하여 본격적으로 가해
4. 방제방법
◦ 발생상습지 저항성 품종 재배(화영, 삼덕, 주남, 호품, 칠보, 동진2호 등)
◦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애멸구를 이앙 전 방제하여 보독충의 밀도 억제
◦ 이앙 당일 입제농약을 육묘상자당 50g 정도 살포
◦ 상자처리를 하지 않았거나 발생이 심한 지역은 이앙 후 10~15일경 벼물바구미, 벼잎벌레 등과 동시방제 추진
◦ 유기농업자재(빅토리골드, 팜월드 등)를 이용하여 1차 감염 예방 및 2, 3차 전염을 차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