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

영문명 : Black streaked dwaf

식물명 : 벼

1. 병원균 : Rice black-streaked dwarf figivirus (RBSDV)

 

2. 병징과 진단

초기 병징은 잎의 색깔이 짙게 되고 초장이 짧아져 위축증상을 보임

후기 출수기에는 잎 뒷면의 엽맥부분과 줄기에서 백색의 돌기가 생기고 진전되면 갈색 혹은 흑색으로 변함

이삭은 거의 형성되지 않거나 엽초에서 거의 절반이상 출수하지 못한 채로 있으며 벼 알에 흔히 암갈색의 얼룩이 남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애멸구에 의해 전염되나 줄무늬잎마름병과 달리 경란전염을 하지 않으며, 종자, 접촉, 토양으로 전염하지 않음

바이러스는 월동하는 애멸구 몸에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봄에 애멸구가 보리, 옥수수, 논으로 이동하여 바이러스를 옮김

애멸구가 논에서 알을 낳고 증식하는 동안 병에 걸린 벼에서 다시 바이러스를 획득하여 건전한 벼로 전파함

주로 조기재배를 위해 일찍 이앙한 모에서 발생이 심함

 

4. 방제방법

검은줄오갈병이 매년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중간 전염원이 되는 옥수수, , 보리 재배 금지

논에 잡초를 철저히 제거하고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

재배품종 중에는 아직 저항성 품종이 없으므로 사전에 매개충인 애멸구를 철저히 방제

유기농업자재(빅토리골드, 팜월드 )를 이용하여 1차 감염 예방 및 2, 3차 전염을 차단함

심하게 위축된 모습

심하게 위축된 모습

바이러스 돌기증상

바이러스 돌기증상

출수기 병징

출수기 병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