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영문명 : rice blast
식물명 : 벼
1. 병원균 : Magnaporthe grisea (불완전세대 : Pyricularia oryzae)
◦ 자낭균에 속하나 포장에서는 불완전세대가 일반적임
◦ 분생포자는 무색 서양배, 2개 격막(간혹 1개 혹은 3개), 크기 14~37× 5~12㎛이며, 배지상에서 흑갈색 구형 자낭각, 방추형의 자낭포자를 만듦
2. 병징과 진단
◦ 모 도 열 병 : 어린모의 기부나 중앙부위에 갈색병반이 나타나고 심하면 말라 죽음
◦ 잎 도 열 병 : 잎에 침입하여 병반 형성, 세점형(갈점형, 백점형)과 반문형(급성형, 만성형)으로 나눔
※ 세점형은 저항성 병반으로 반문형은 이병성 병반으로 일컬어지며, 세점형 중에서 백점형은 아주 작은 원형으로 갑작스럽게 발병되나 도열병균의 포자는 형성되지 않고 갈점형은 전형적인 저항성 병반으로 병원균이 벼 잎에 침입하면 기주인 벼가 침입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나타냄으로써 침해를 당한 부위의 조직이 죽는 동시에 침입한 균사도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여 더 이상 진전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며, 급성형 병반의 경우 한 개의 병반에 수많은 포자가 형성되어 있고 병원균의 한 세대가 매우 짧아 잎도열병 전염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위험한 병반임
◦ 이삭도열병 : 이삭목이 병원균의 침입을 받아 양수분 공급 차단으로 말라 죽으며, 발병위치에 따라 목도열병(가장 치명적 피해), 벼알도열병, 가지도열병으로 나뉨
◦ 마디도열병 : 줄기 사이 마디가 침해를 받아 마디가 돌아가면서 검게 되고 심하면 부러짐
4.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균사 상태로 피해 짚이나 벼알 등에서 월동
◦ 잎도열병은 평균기온이 20℃(발병적온 20~25℃)가 넘는 6월 중순 이후 저온에서 발생하며, 이 시기에는 발병까지 7~10일 정도 소요
◦ 이삭도열병은 출수기 전후 비가 자주 오고 음습한 날씨가 계속되면 발생
◦ 이삭도열병균 침입은 이삭패기 시작할 때부터 10일까지, 가지 및 벼알도열병은 이삭패기 시작할 때부터 20일까지 가장 많음
◦ 질소질비료나 가축분뇨를 과다 시용한 논에서 발생이 많으며, 장마철 일조부족 및 저온일 때 발생이 많아짐
5.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 채종, 볍씨소독 철저, 밀식지양, 이병식물 신속제거
◦ 질소질비료 적정시비, 특히 계분, 돈분 등의 가축분퇴비의 과용 금지
◦ 저항성 품종 재배, 넓은 지역에 단일품종 재배 지양 및 다양한 품종 재배
◦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잎도열병은 발생 초기나 직전에 이삭도열병은 출수 직전 경엽처리 함(무인항공)
※ 잦은 강우 등으로 발생이 확대될 우려가 있을 경우 7월 하순~8월 상순 침투이행성의 약효 지속기간이 긴 입제형 농약(아이소프로티올레인 입제, 이프로벤포스 입제 등)을 살포하고 출수 전 강우예상 시 비가 멈춘 틈을 타서 적용약제(유제 또는 수화제)와 전착제를 혼용하여 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