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국화 흰녹병

영문명 : White rust

식물명 : 국화

흰녹병(백수병, White rust)

 

1. 학명 : Puccinia horiana

담자균에 속하며, 동포자는 무색 내지 담황색, 주걱모양, 1개 격막, 크기 30 ~40×12~17, 소생자는 구형, 단세포, 크기 13~15×8~10

 

2. 병징과 진단

잎 뒷면에 처음에 흰색으로 융기한 반점이 나타나고 돌기모양으로 변함

돌기모양의 색깔은 오래되면 담갈색으로 변하고 병반은 주위가 담황색을 띤 반점으로 나타나며, 이병된 잎은 조기에 고사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동포자 형태로 월동하며, 동포자가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하고 소생자는 바람에 비산하여 전염함

동포자의 형성은 연중 가능하지만 5월부터 증가하여 7월에 가장 많고 8월에는 적게 발생하지만 9월이 되면 재발생함

동포자의 발아온도는 6~36, 최적은 18~28, 소생자의 형성 온도는 6~ 24, 최적은 13~22이며, 소생자는 야간의 암흑조건에서만 형성됨

노지재배에서는 초여름부터 가을에 발생이 심하고 시설재배에서는 이른 봄부터 발생이 시작되며, 비가 계속 오면 발생이 급격히 많아짐

 

4. 방제방법

저항성 품종(스탠더드 계통은 봉황, 청우,s 적부사, 을녀 등이고 스프레이 계통은 프린세스, 리퍼, 타켓, 핑크데이지 등)을 선택하여 재배함

건전한 모본을 사용하고 비가 올 때 흙이 튀어 오르면 발병하기 쉬우므로 비를 맞지 않게 함

습윤, 배수 불량 시에 다발하기 때문에 건조한 토지를 선택하고 통풍을 좋게 하며, 질소질 비료의 과다 시용을 피함

발병 초기 적용약제를 7~10일 간격으로 3~4회 방제하며, 공중 습도를 줄여주어야 효과를 높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