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뽕나무(오디) 눈마름병

영문명 : Fusarium bud rot

식물명 : 뽕나무(오디)

2. 병징과 진단

처음 타원형의 병반이 나타나고 4~5월경 지조 또는 절단면 바로 아래 부위는 말라붙고 그 아래 부분에 담황색 또는 담적갈색의 큰 병반을 형성하며, 이러한 색상의 작은 돌기는 6월경부터 점차 청흑색으로 변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주로 가지의 절단면이나 겨울눈 부근에 발생하는 지고성 병해로 발병은 3월에 시작하여 4~5월경이 최성기로 6월 하순경에 끝이 남

병원균의 침입 부위는 가을 가지치기 절단면, 작업이나 해충(애나무좀, 하늘소 )에 의한 상처, 여름철 인축의 미완숙 분뇨의 시비, 속효성 질소비료의 과용, 지하수위가 높거나 모래땅, 동해의 피해 등은 병 발생의 원인임

병원균은 여름철에 포자 형성은 많으나 뽕나무에 상처가 나면 융합조직이 왕성(적온 25~30)하여 침입하기 어렵고 8~9월 가을철 낮은 온도로 융합조직의 형성이 정지 상태에 이르는 반면 병원균의 발육 적온인 22.5내외가 되어서 쉽게 침입할 수 있음

봄철 온도가 낮거나 겨울철 영하 이하 기온일수가 증가하는 조건, 결과지 제거 후 강우량이 많고 일조시수가 낮은 조건에서 다발생

 

4. 방제방법

애나무좀의 식입공은 병원균 침입에 가장 좋은 장소로 애나무좀 피해 가지는 잘라 소각하고 살충제를 춘기 뽕 싹트기 전(탈포전)이나 늦가을누에(만추잠) 완료 후 집중 방제함

가을누에 때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가지뽕(조상) 수확 또는 중간벌채 가지의 절단면을 통해 병원균이 침입하므로 11월경 절단면으로부터 5~10cm 아래서 재절단함

4월 상순부터 혹은 가을누에 친 후 적용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함

눈마름병 병원균 분생포자

눈마름병 병원균 분생포자

눈마름병 초기 눈마름 증상

눈마름병 초기 눈마름 증상

눈마름병 초기 눈마름 증상 2

눈마름병 초기 눈마름 증상 2

눈마름병 초기 눈마름 증상 3

눈마름병 초기 눈마름 증상 3

눈마름에 의한 새순고사 및 열매 마름증상

눈마름에 의한 새순고사 및 열매 마름증상

눈마름에 의한 새순고사 및 열매 마름증상 2

눈마름에 의한 새순고사 및 열매 마름증상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