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복숭아 역병

영문명 : Phytophthora rot

식물명 : 복숭아

1. 병원균 : Phytophthora cactorum

유주자낭은 장타원형 또는 난형, 대체로 유두돌기 뚜렷, 크기 36~50×28~ 36, 난포자는 구형, 직경 27~30, 4의 뚜꺼운 막

 

2. 병징과 진단

, 신초, 과실 등 모든 부위에 침입하여 병을 발생시키나 줄기에는 발생이 흔하지 않은 편임

주로 지면과 가깝고 땅 쪽 방향의 과실이나 잎에서 발생함

과일에는 명확하지 않은 갈색의 큰 병반이 희미하게 퍼지는데 비교적 단단하고 병든 과실은 쉽게 떨어지며, 약한 알코올 냄새가 풍기기도 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주로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난포자 형태로 월동, 토양 중에서도 난포자 형태로 오랫동안(2년 이상) 생존하여 전염원이 될 수 있음

장마가 오래 계속되는 해에 많이 발생하고 늦은 봄과 이른 가을에 피해가 크며, 한여름에는 진전이 억제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발생이 심하고 한번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움

동해, 한해, 과다결실 등 여러 가지 스트레스와 연관되어 발생하고 토양 내 병원균 밀도 증가는 장기간 제초제 과다살포와 연관이 있음

 

4. 방제방법

낮은 위치의 과실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낮은 가지에 결과 시키지 않도록 하며, 봉지 씌우기를 함

빗물에 의해 병원균이 튀어 오르지 못하도록 지표면에 생초나 피복재로 피복하고 배수가 잘 되로록 암거배수 등 설치

약제살포 보다는 자연초생 재배를 통해 연차별로 토양 내에 병원균의 밀도를 줄여 나가는 것이 효과적임

병원균(유주자낭)

병원균(유주자낭)

잎의 병징

잎의 병징

 과실의 병징

과실의 병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