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복숭아 이상편숙과

영문명 : X

식물명 : 복숭아

1. 피해증상

초기에는 복숭아 봉합선의 상단부가 일찍 붉게 착색되며, 증상이 진전됨에 따라 건전 부위보다 일찍 성숙하여 연화되고 때로는 급속히 비대 생장하여 혹처럼 튀어나오기도 함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수확 2~4주 전부터 나타나는데, 건전 부위가 성숙될 무렵에는 봉합선 부위는 과숙되어 열과되거나 부패하여 상품성이 없어짐

이상편숙과가 발생되는 복숭아나무의 잎은 미량요소 결핍 시 나타나기 쉬운 황화현상이 나타나고 때로는 잎의 가장자리나 끝이 말라죽기도 함

이 현상은 나무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복숭아원 전체에 발생되므로 심한 피해를 주게 되며, 품종에 따라 중만생종인 대구보백도보다는 조생종인 창방조생에서 많이 발생됨

 

2. 원 인

과실 봉합선 부위에 불소의 이상축적에 의해서 과실의 성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에틸렌 가스의 발생량이 증가됨으로써 발생됨

식물생장조정제인 오옥신계통의 2,4-D2,4-DP를 과실에 살포하거나 성숙촉진제인 에스렐을 살포해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남

 

3. 대 책

염화칼슘 1%액을 경핵기에 10~20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엽면살포하여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식물체 내의 불소가 엽면살포에 의해 흡수된 칼슘과 결합하여 대부분이 불용화 되어 유효태 불소 함량이 낮아짐으로써 발생이 감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