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수확 전 낙과

영문명 : X

식물명 : 복숭아

1. 피해증상

병해충이나 기계적 장해에 의해서가 아니라 과실이 발육 도중 자연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조기 낙과와 수확 전 낙과로 나눌 수 있음

수확 전 낙과는 주로 수확 10~15일 전에 흔히 나타나는데, 성숙기 가까이 강우나 건조한 해에 많이 나타나고 특히 유명품종에서 심함

천중도 백도와 진미는 만개 후 115~125, 유명은 119~130, 장호원 황도는 150~160일에 낙과가 발생함

 

2. 원 인

유명품종의 열매꼭지 길이는 9.5mm로 다른 품종과 비슷하지만 경와부(열매꼭지가 달린 움푹 들어간 부위)의 비대가 활발하여 만개 후 96일경에는 열매꼭지 길이와 경와부 깊이가 같아지게 되며, 그 이후 계속된 경와부의 비대로 인하여 열매꼭지 부위의 물리적 인장 압박을 받게 됨으로써 낙과하게 됨

특히 성숙기에 기온이 높으면 열매꼭지 부위의 에틸렌 발생량이 증가하고 탈리층 형성을 촉진하는 셀룰라제(cellulase)와 폴리갈락투로나제(polygalacturonase)의 활성도가 높아짐으로써 낙과가 더욱 증가됨

 

3. 대 책

열매꼭지 부위의 물리적 압박을 적게 하기 위하여 중단과지에 주로 착과 시킴

장과지는 가지 기부에 결실된 과실은 솎아주고 선단부에 착과시킴

토양이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장마철 배수 불량으로 잔뿌리가 썩게 되면서 나무의 에틸렌 발생량이 증가되어 낙과가 심해지므로 가뭄 시에는 관수해주고 장마철에는 물 빠짐이 잘 되도록 함

밑거름 시용 시 깊이갈이, 퇴비, 석회 시용을 철저히 하여 뿌리가 깊고 넓게 발달하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임

시장의 동향 등을 파악하고 수확 전 낙과 발생시기를 만개 후부터 계산하여 수확시기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