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마늘 무름병(연부병)

영문명 : Soft rot

식물명 : 마늘

1. 병원균 :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2. 병징과 진단

생육 초기에 지제부로부터 발병하여 지하 연백부를 부패시키고 냄새가 나며 잎이 마르고 넘어짐

의 녹색부에서는 처음 방추형 암녹색이고 잎맥을 따라서 작은 방추형 수침상의 연화부가 나타나고 이것을 중심으로 상하로 진전되어 상부의 잎은 황변함

마늘의 인편이 무르고 부패할 때도 있고 비가 올 때 수확하면 저장 중에도 발병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 전염원이 되며, 32~35의 고온에서 잘 번식하고 pH 6.0 이상의 중성이나 약알칼리 토양에서 잘 자람

병원균은 기주식물이나 잡초의 뿌리 근처에서 생존하며, 대개 표토로부터 15cm 이내에 분포하나 25cm 이상의 깊이에서 생존하는 것도 있음

세균의 번식은 토양 내의 다습조건이 필수적이며, 건조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약하고 식물의 표피를 뚫고 직접 침입하는 경우는 없고 주로 관개수, 빗물, 토양해충 등을 통하여 식물체의 상처 부위로 침입함

 

4. 방제방법

피해주는 발견 즉시 제거하고 연작을 피하며, 2~3년간 벼과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좋음

, 양배추, 토마토, 감자, 강낭콩, 오이, 토란 등에도 발생하므로 이들 작물에 발병된 토양에 마늘을 재배하지 않는 것이 좋음

석회를 기준량으로 주고 질소비료를 너무 많이 주면 발생이 많아지므로 균형시비를 함

세균성 토양병해로 약제살포 효과는 낮은 편이므로 예방적으로 약제를 살포하거나 발병 초기에 적용약제를 7일 간격으로 3~4회 처리함

병원 세균

병원 세균

피해 증상

피해 증상

피해 증상

피해 증상

잎끝 마름

잎끝 마름

잎집 부위 증상

잎집 부위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