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들민달팽이

영문명 : Deroceras laeve Mulle

식물명 : 딸기

1. 학명 : Deroceras laeve

 

2. 피해와 진단

낮에는 식물체 밑에 숨어 있고 밤에만 활동하며, 성체나 유체 모두 잡식성으로 잎, 어린순 등 연약한 부분을 식해하고 피해가 심한 잎은 잎맥만 남고 거친 그물 모양으로 되며 과일에는 크고 작은 구멍을 냄

주로 꽃받침 아래를 가해하며, 가해 부위에는 점액이 부착되어 있고 구불구불한 검은 배설물이 남아 있음

 

3. 형 태

성체의 크기는 30~40mm로 민달팽이 보다 작음

몸은 흑갈색이고 민달팽이에서 볼 수 있는 세로줄이 없음

 

4. 생 태

2회 발생하고 토양 속이나 낙엽 밑 등 습기가 있는 장소에서 월동

봄과 가을에 지표면 또는 낙엽 밑에 300개 내외를 산란함

 

5. 방제방법

발생이 많은 곳에서는 은신처가 되는 작물, 잡초 등을 제거하고 토양 표면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음

맥주 등을 컵에 담아 땅 표면과 일치하게 묻어 놓으면 유인되어 빠져 죽거나 오이를 썰어 시설 내 지표면에 깔아 두었다가 유인된 달팽이를 모아 죽임

발생이 많을 때는 유인제를 이용하여 유살하며,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유기농업자재(페라몰 등)를 이용하여 방제함

성  체

성 체

 피해 증상

피해 증상

 피해 증상

피해 증상